반응형

제목: 실제 핸드셋 vs. 시뮬레이터(Real handsets vs. simulators)

저자: Perfecto Mobile Ltd.

문서유형: 업체 보고서( 8 페이지), 2011

 

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핸드셋상에서 테스트할 때와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시 차이점에 대해 설명


 

시뮬레이터

실제 핸드셋을 흉내 내는 PC기반의 애플리케이션(attributesbehavior을 매핑)

 

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장점

  • 애플리케이션 개발 초기 단계에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해줌
  • 시뮬레이터가 통합개발환경(IDE)에 통합되어 있는 경우 테스트 후 디버깅 용이
  • 비용 저렴(, 시뮬레이터의 무료 다운로드)
  • 테스트를 위해 흔하지 않은 특수 상황(, no network)을 만들어 주기가 용이


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테스트의 단점

  • 실제 플랫폼이 아니므로 시뮬레이터에서 테스트를 통과했다 하더라도 실제 핸드셋상에서도 제대로 작동할지 장담 못함. , 실제 핸드셋상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시뮬레이터로 테스트시에는 발생하지 않고(false positive” situations), 반대로 실제 핸드셋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시뮬레이터에서만 발생하는 결함(“false negatives” situations)도 있음
  • “false positive”의 경우 시뮬레이터에서 성공한 테스트 케이스들이 실제 핸드셋에서는 실패로 판정됨


핸드셋 vs. 시뮬레이터 테스트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

  • 네트워크 환경의 차이 (, 인터넷 연결시 핸드셋은 무선파 RF를 통하는 반면 시뮬레이터는 PC LAN 환경과 방화벽을 거친다. 하위 레벨 네트워크 stack도 완전히 다르다.)
  • 모바일 시뮬레이터에 비해 실제 핸드셋은 매우 제한된 resources를 보유
    , CPU 파워 및 메모리 상이, 그래픽 칩셋(chipset)과 입력 장치(input devices) 등에서도 차이 발생

 

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시뮬레이터상의 테스트 결과에 대해 아래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 있다.

  • 시뮬레이터 상에서 실패한 경우 실제 핸드셋 상에서 테스트 해 볼 필요 있음(양쪽 모두에서 실패할 수도 있고, 실제 핸드셋에서는 성공으로 판명될 수도 있다.)
  • 시뮬레이터 상에서 성공(이걸로 충분한지 아니면 실제 핸드셋 상에서도 다시 테스트 해 볼 필요가 있는지 고민)

 

실제 핸드셋상에서 테스트할 때의 장점

  • 테스트 결과가 정확(“false negatives” 또는 “false positive” 상황에 대하여 걱정할 필요가 없음)
  • 성능 관련 결함 발견 용이


반응형

+ Recent posts